오래도록 오해받아 온 그대 이름, 하와!
- 435
- 첨부 1개
왜 그렇게 생각하는 걸까?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가 뭘까? 뭘 보고 그렇게 생각하는 거지? 이런 의문이 들 때가 많다. 성서학자로서 내가 하는 일은 이런 의문들을 통해서 성서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를 강력하게 지배하는 그릇된 고정관념들이 참 많고, 그것들을 파악해서 격파하는 게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사실이다. 우리가 무엇을 보고 무엇을 읽든, 대다수 경우 결국은 우리에게 굳게 박힌 고정관념을 보고 그것을 읽어 내는 것 이상이 아님을 새삼 깨닫는다.
▲ 알브레히트 뒤러가 그린 하우와. (사진 제공 위키백과) |
하우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하우와'는 인류 최초의 여자라고 하는 하와를 히브리어 그대로 읽은 이름이다. 하우와라는 이름은 히브리어 동사 '하야'에서 왔다고 하는데, '하야'는 '살다' '살아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래서 하우와의 뜻은 '생명' 또는 '삶'이다. 창세기 기자는 하우와를 '모든 산 자의 어머니'로 풀이한다.
이 하우와를 영어식으로 '이브'(Eve)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브는 도대체 하우와와 무슨 관계가 있는가? 히브리어 성경을 70인 역이라는 헬라어 성경으로 번역하면서, 번역자들이 하우와라는 히브리어를 맨 처음에 딱 한 번 그 의미를 살려서 헬라어 '조에'(생명)로 옮겼는데, 그 다음부터는 '에우와'로 음역했다. 이것이 영어식으로는 이브가 된 것이다. 그러니 이브는 하우와라는 히브리어의 헬라어 음역을 흉내 낸 것일 뿐이다. 그러다 보니 이브에는 생명이라는 의미가 전혀 담기지 않았다.
원명이 하우와인데, 왜 헬라어 음역에서 파생한 이브라는 이름을 사용하는가? 제 이름 그대로 불러 주는 것이 상대방에 대한 예의 아닌가? 여성신학자들마저도 하우와를 이브라고 칭하는 것은 한심해 보인다. 이것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고정관념을 넘어서 하우와를 제대로 평가하는 일은 하우와를 하우와로 부르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하우와라는 이름은 아담이 지어 주었다. 하나님이 아니고 아담이 지어 준 이름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런데 그 시점이 매우 의미심장하다. 아담이 자기 아내에게 하우와라는 이름을 지어 준 때는 그들이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따 먹은 사실을 하나님이 아시고 아담과 그의 아내에게 각각 벌을 내리신 바로 다음이다. 어떻게 해서 아담이 아내의 이름을 하우와라고 지어 주는 구절이 거기에 자리를 잡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렇게 자리를 잡고 있는 형태는 큰 의미를 갖는다. 본문을 쓴 사람은 아담이 아내를 하우와라고 불렀다는 사실을 언급한 바로 다음에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창 3:21)는 자기 진술을 첨부하는데, 아담과 하우와라고 하지 않고 아담과 그의 아내로 부른다. 여기서 그가 아직 하우와라는 이름에 익숙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아담과 그의 아내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따 먹었다는 이유로 하나님께 추궁을 받는 동안 잘못을 서로에게 전가했기 때문에, 그들이 벌 받은 이후에 관계가 원만치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현재 본문 구성을 보면, 그렇게 볼 근거가 전혀 없다. 만약 아담과 그의 아내가 서로 원망하고 증오했다면, 아담이 아내 이름을 하우와라고, 즉 모든 산 자의 어머니라고 부르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우와라고, 즉 생명이라고 부르는 대신, 증오, 저주, 죽음, 이런 불명예스러운 이름을 붙여 주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아담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오히려 하우와, 즉 생명이라는 귀중하고 의미심장한 이름으로 아내를 불렀다.
아담이 아내를 하우와라고 부르는 것을 아담이 아내를, 즉 남자가 여자를 지배하고 다스리는 인간관계 형태를 반영한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꼭 그럴까? 이것은 전체적으로 분위기 파악을 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아담과 하우와는 사건 이후에 더 성숙해지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아담이 아내에 대한 지배권을 확증하기 위해서 아내를 하우와라고 부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더욱이 매사에 아담보다 하우와가 주도적이기에 결코 그럴 리가 없다.
사람들은 하우와를 정죄하고 낙인찍기를 좋아하는 듯하다. 인간이 타락했기 때문에 죄를 짓는다고 여기는데, 그 까닭을 하우와 때문인 것으로 본다. 하우와가 유혹하는 뱀에게 넘어가서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따먹고 그것을 남편에게도 주었기 때문에, 인류가 이처럼 타락해서 죄를 짓는다는 것이다. 도대체 하우와가 죄를 지었다고 하자. 그것이 그토록 엄청난 일이었던가? 그리고 그것이 하우와 개인에게 그치지 않고, 온 인류에게 전달되는 무시무시한 유전자로 변형되어서 생물학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유전될 수 있는가?
밀턴은 자신이 쓴 책 <실낙원>에서 하우와가 아름답고 탁월하긴 하지만, 결정적인 게 2퍼센트 부족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부족한 2퍼센트로 인해 심각한 잘못을 저지를지 몰라 아담은 항상 노심초사한다. 그러던 어느 날 아내가 홀로 밭에 나가서 일하겠다는 것을 막지 못해서, 하우와가 뱀에게 유혹당해 죄를 범하고 결국 온 인류를 죄에 빠지게 했다는 것이다.
오래된 유대 전설은 하우와가 아담의 첫째 아내가 아니고 둘째 아내라고 한다. 첫째 아내는 너무 고집이 세서 아담이 이혼을 했고, 그래서 하나님이 둘째 부인인 하우와를 순둥이로 창조하셨는데, 하우와가 예상을 깨고 아담에게, 하나님에게 불순종함으로써 그 엄청난 사단, 인류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일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이렇듯 하우와를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그리고 그게 고정관념으로 전달되고 전파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 고정관념에 사로잡혀서, 하우와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상당히 강력한 차별과 억압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한다. 그런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하우와를 바르게 읽어 내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여기서는 특히 하우와가 세 아들을 낳고 키운 어머니였음에 주목하려 한다. (다음에 계속)
이종록 / 한일장신대 구약학 교수